본문 바로가기

지식재산권 (특허)11

선행기술 조사의 필요성 (키프리스 KIPRIS의 활용) 선행기술 조사를 통하여 출원 전, 내가 출원하고자 하는 특허의 등록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고, 내가 출원한 특허나 타인이 출원한 특허의 심사진행 히스토리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내가 관심 있거나 연구하고 있는 분야의 자료 수집이 가능합니다. 하기에서는 선행기술 조사의 필요성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고, 실제로 선행기술조사는 어떻게 하면 되는지 키프리스 활용팁도 함께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선행기술 조사의 필요성 등록가능성 확인 내가 개발한 아이디어라도 특허출원을 한다고 모두 특허를 등록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전에 포스팅한 것처럼 특허를 허여 받기 위해서는 신규성과 진보성이 있어야 합니다. 즉, 기존에 공개되어 있거나 등록되어 있는 특허와 동일하거나 그와 유사한 발명이면 내 발명은 특허등.. 2023. 3. 30.
누가 특허 받을 수 있을까? (외국인이나 미성년자도 출원 가능한지 여부) 지난 포스팅에서는 특허가 무엇인지, 특허의 대상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았고, 특허 받기 위한 여러 요건 중 일부인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규성, 진보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누가 특허 받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자녀들이 발명을 완성한 경우에 특허출원 가능한지 궁금하신 분들도 있으실 것 같아서 미성년자인 경우에도 특허출원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체적 특허요건이란, 특허를 허여해줄 것을 신청하는 "사람"이 갖추어야하는 요건을 말하는 것으로, 권리능력이 있어야 하며, 발명자 또는 그 승계인이어야 하고, 특허청 직원/심판원 직원이 아니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하기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특허법 제33조(특허를 받을 수 있는 자) ① 발명을 한 사람.. 2023. 3. 29.
특허란? (특허의 목적, 특허의 대상, 특허의 요건, 신규성, 진보성) 특허란 무엇인지, 특허의 대상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내가 발명한 기술에 대해 특허를 받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건이 필요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특허란? 특허권(Patent)은 영국에서 유래된 제도라 할 수 있는데, 영국은 14세기에 자국 내 공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른 나라의 기술자들에게 영국 내에서 특허권을 가지고 영업을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도록 개봉된 상태의 특허증서인 “Letter Patent”를 발행했다고 합니다. 그 후 “Open”이라는 뜻을 가진 Patent 가 특허권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즉, 특허의 영어 단어 Patent는 공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특허와 공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허법 제1조(목적).. 2023. 3. 29.